티스토리 뷰
파이썬 코딩 출력함수 기본함수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파이썬 파이참에 콘솔 창 그리고 실행창에 차이점을 알아보았습니다. 처음에 생소했던 내용들 하나하나 배워가면서 복습하다 보니 점점 파이썬 코딩에 흥미를 가지게 되는 거 같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파이썬을 번역해 줄 파이참에 파이썬 함수를 통해서 기본 함수와 입력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파이썬 기본 함수, 입력 함수 이해할 수 있도록 예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기본 출력 함수 Print()
기본 출력 함수 Print()는 어떤 값으로 인해 출력하고자 하고 우리 눈으로 확인을 하기 위해 쓰는 출력 함수입니다. Print() 함수에는 특징이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코딩을 처음 접 하시는 분들이라면 하나씩 하다 보면 자연스레 외워지게 될 것입니다.
1-1 기본 출력 함수 예시
파이참인 인터프리터(=번역사) 입력창에 print("apple")라고 검색창에 쳐보겠습니다. 그럼 실행창 결과 apple라는 단어가 나오게 되어있습니다. 이번에는 입력창 두줄을 사용하겠습니다. 첫 번째 줄에 print("apple") 두 번째 줄에는 print("cup")이라고 값을 정했을 때 나오는 값은 실행창 첫 번째 줄은 apple 두 번째 줄은 cup 각 각 줄에 맞게 출력이 됩니다. 즉 자동으로 개행(줄 바꿈)을 해줍니다. 여기서 좋은 정보를 드리자면 파이썬 입력창에 함수와 값을 입력하고 중간에 두 번째 줄을 넘어갈 때 Shift+Enter를 클릭해주면 앞으로 파이썬을 코딩해주는 파이참 편하게 프로그래밍(=코딩)을 하실 거 같습니다. 다시 한번 예를 들자 하면 print(1+1) 입력창에 쳤을 때는 1 더하기 1 더한 값 2가 나오겠지만 print("1+1")은 출력해라!라는 명령과 같습니다. 이럴 때에는 더해지지 않고 2가 아닌 1+1 값을 출력해줍니다.
2. 기본 함수 len()
기본 함수 len() 함수는 문자열의 길이를 알려주는 함수입니다. len() 함수에 "apple" 값을 넣었을 때 문자열의 길이는 5입니다 그렇다면 실행창에 함수를 출력하기 위해 위에서 배운 Print()를 씌워 값을 출력할 수 있겠습니다. Print(len("apple"))라고 했을 때 len 값의 출력 5 그리고 출력을 위해 print()를 사용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콘솔 창에서는 출력해주는 Print() 출력 함수 없이 len("apple")로 값이 나오게 됩니다.
2-1 기본 함수 len() 코딩 전 알아보기
콘솔 창이 아닌 실행창을 이용해 함수 len()에 예를 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함수를 제대로 넣지 않게 된다면 입력창에 입력을 할 때 아랫줄(밑줄)에 빨간 표시가 보이니 참고하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만약에 함수나 문자열에 오타가 생길 시에 잘못 적으신 함숫값이 증발해 출력되지 않습니다.이것을 def값이라고 하는데 def값을 사용하지 않게 된다면 오류,에러가 나타나게 됩니다.즉 함수를 정의한다라고 볼수 있겠습니다.
2-2 기본 함수 len() 예시
기본 함수 len() 함수는 문자열을 출력하면서 동시에 문자열의 길이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예를 들자 하면 "Helloworld"문자열을 10개지만"Hello world"라고 띄어쓰기를 하면 공백(길이)까지 출력을 하게 됩니다. print(len("Hello world"))라고 입력창에 명령을 내리면 실행창에 값은 공백을 포함해 11의 값이 나오게 됩니다.
이렇게 해서 기본 출력 함수 print()와 기본 함수 len()에 특징에 대해서 알아 알아보는 시간이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는 파이썬 코딩(=프로그래밍)을 위해 필요한 기본 입력 함수 input(), 등호(=), 콤마(,) 활용할 수 있는 코딩(=프로그래밍)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